경제

국민주, 삼성전자 기술위기!!, 사즉생 (+부자되기)

zasic 2025. 3. 18. 20:17
반응형

 

사즉생 각오로!!

 

삼성다움 복원 임원교육서 제2으 프랑크푸르트 선언, 임원진 수시 인사로 인해 삼성전자 주가 5.3% 급등~~~

 

이회장이 세가지 혁신 키워드를 제시했다

 

첫째도 기술, 둘째도 기술, 셋째도 기술 이라고 강조

 

제2의 프랑크푸르트 선언 이라는 평가를 하고 있다.

고) 이건희 회장은 1993년 6월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임원 200여명을 소집해 국제화 시대에 변하지 않으면 영원히 2류 내지 2.5류가 된다며 마누라와 자식을 빼고 모두 다 바꾸라는 강도 높은 주문을 한 바 있다.

 

삼성은 창업주인 이병철 회장이 1983년 일본 도쿄에서 '반도체 진출 선언'을 통해 회사의 방향을 전환하였고, 이건희 전 회장은 1993년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마누라와 자식 빼고 다 바꾸라'는 선언으로 글로벌 기업으로서의 도약을 이끌었습니다.

 

이러한 전통을 이어받은 이재용 회장은 최근 10년간의 사법 리스크를 해소하고, 삼성의 기술 경쟁력을 회복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특히, 반도체 사업 부진과 글로벌 경쟁 심화 등으로 인해 '사즉생'의 각오로 기술 혁신에 매진하고 있습니다.

 

이 회장은 지난해 11월 항소심 최후진술에서 "최근 들어 삼성의 미래에 대한 우려가 매우 크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며 "어려운 상황을 반드시 극복하고 앞으로 한발 더 나아가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재용 회장의 '사즉생' 정신은 삼성의 기술 혁신과 경쟁력 강화를 통해 현재의 위기를 극복하겠다는 강한 의지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2025년을 맞아 다양한 신제품 출시와 전략을 통해 시장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신제품 출시

  • 갤럭시 S25 시리즈: 1월 22일 '갤럭시 언팩 2025' 행사에서 갤럭시 S25, S25 플러스, S25 울트라를 공개하였습니다. 이들 모델은 퀄컴의 스냅드래곤 8 엘리트 칩셋과 구글의 AI 모델인 제미니를 탑재하여 AI 기능을 대폭 향상시켰습니다.
  • 갤럭시 S25 엣지: 삼성은 슬림한 디자인의 갤럭시 S25 엣지를 선보여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 모델은 기존 제품보다 얇은 두께로 디자인 혁신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 AI TV 신제품: 3월 12일부터 신규 AI 기능을 탑재한 2025년형 AI TV 신제품의 사전 판매를 시작하였습니다. 이번 신제품은 Neo QLED와 OLED 라인업을 포함하며, AI 기능이 한층 진화되었습니다.

사업 전략 및 투자 전망

 

2024년 12월, 삼성전자는 글로벌 전략회의를 개최하여 2025년 사업 계획을 논의하였습니다. 이 회의에서 각 사업 부문별 전략과 시장 대응 방안을 모색하였습니다.

 

전문가들은 2025년 삼성전자의 주가 상승 요인으로 반도체 시장 회복, AI 반도체 성장, 스마트폰 경쟁력 유지를 꼽고 있으며, 목표 주가를 8만 원에서 10만 원 수준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또한, 삼성전자는 고대역폭 메모리(HBM) 시장 점유율 확대와 AI 반도체 경쟁력 강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2나노 공정 도입을 통해 파운드리 시장에서의 입지를 넓히고 있습니다.

 

이러한 신제품 출시와 전략을 통해 삼성전자는 2025년에도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유지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 AI 기능 강화한 갤럭시 S25 시리즈 공개
 
 

 

 
 
 
 
 
 

 

2024년 4분기 실적 전망

  • 매출액: 약 76.6조 원
  • 영업이익: 약 7.8조 원

이는 기존 추정치 대비 매출액은 2.3% 낮고, 영업이익은 19.3% 하회하는 수준입니다. 주요 요인으로는 범용 메모리 가격 하락, 스마트폰 및 PC 수요 위축, 중국 CXMT(메모리 반도체 기업)의 공급 확대 등이 지목되고 있습니다.


2025년 전망

 

일부 증권사에서는 2025년 삼성전자의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약 29% 감소한 24.4조 원까지 내려갈 수 있다는 전망을 내놓고 있습니다. 이는 시장에서 기대하는 37.9조 원(전년 대비 +8%)과 상당한 격차가 있습니다. 이러한 전망은 재고 수준이 여전히 높고, PC·모바일 기기의 판매 둔화가 쉽게 해소되지 않을 수 있다는 우려에 기반하고 있습니다.

반응형